본문 바로가기
2008.01.16 03:54

여우골과 어린이말

조회 수 661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골과 어린이말

땅이름에는 우리 고유의 정신이 담긴다. 이런 정신은 토박이말 땅이름에 많으며, 작은 땅이름에는 토박이말로 이루어진 것이 많다. 더욱이 이러한 땅이름은 쉽게 바뀌지 않는 성질을 갖는데, 이런 성질을 보수성이라 한다. 땅이름의 보수성은 어휘뿐만 아니라 말소리에도 남아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여우골’ 발음이다. 강원 영서 지역에서는 이 땅이름이 ‘이윽골’(이때 ‘이’와 ‘으’는 합쳐서 하나의 소리로 내야 한다. 이런 소리는 ‘영감’을 ‘이응감’으로 부르는 것과 같다)로 발음된다. 그런데 ‘이’와 ‘으’를 합쳐서 소리를 내야 하니, 오늘날의 한글 표기로는 적을 방법이 없는 셈이다. 이렇게 표기 방법이 없는 땅이름이 오랫동안 전해지는 까닭은 땅이름이 지닌 보수성 때문이다.

그런데 〈훈민정음〉에는 이처럼 표기하기 어려운 발음을 표기하는 방법이 들어 있다. 〈훈민정음〉 ‘합자해’에는 아동과 변방의 말에 ‘ㅣ’가 먼저 나고 ‘ㅡ’가 나중 나는 발음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의’는 ‘ㅡ’가 먼저 나고 ‘ㅣ’가 나중 나는 발음이다. 따라서 ‘이으’를 적을 때는 ‘ ’로 적을 수 있다는 것이다. 〈훈민정음〉에서는 이런 소리가 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단지 아동(어린이)과 변방의 말에만 간혹 있다고 하였다.

말은 사람들의 심리를 반영한다. 오늘날 말소리가 가벼워지거나 혀를 굴리는 소리가 많아지는 것은 외국어 교육의 영향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심리를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이런 점에서 ‘여우골’에 남아 있는 〈훈민정음〉의 어린이말은 오랜 우리의 삶을 의미하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02
3326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490
3325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33
3324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401
3323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262
3322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361
3321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16
3320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865
3319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597
3318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024
3317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676
3316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02
3315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19
»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616
3313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530
3312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691
3311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536
3310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01
3309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837
3308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823
3307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175
3306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075
3305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9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