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5 00:26

제맛

조회 수 781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맛

‘제’는 ‘저’에 격조사 ‘이·의’가 축약된 낱말이다. ‘제가 다녀오겠습니다’에서처럼 ‘자기를 낮춰 가리키는 일인칭’으로 쓰이거나, ‘뭐든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지’에서처럼 ‘이미 말한 이를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으로 쓰인 ‘제’는 ‘저’에 격조사 ‘이’가 달라붙은 것이고, ‘제 책입니다’에서 ‘저의 책’으로 분석되는 것은 ‘저’에 격조사 ‘의’가 달라붙은 것이다. ‘제’와 비슷한 특징을 보이는 낱말로는 ‘내’, ‘네’ 등이 있다.

한편, ‘삼인칭 대명사’로 쓰이는 ‘제’는 합성어를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말로는 ‘제각각·제값·제격·제고장·제구실·제대로·제때·제멋·제물·제바람·제빛·제살이·제소리·제자리·제집·제짝·제힘’ 들이 있다. 합성어가 되었을 때의 ‘제’는 본디 뜻에서 번져 ‘그 자체의’,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스스로의’, ‘본래의’ 등의 뜻을 나타낸다. ‘제’가 결합된 합성어이면서 큰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로 ‘제맛’이 있다.

“과일도 익어야 ‘제맛’이 나고 곡식도 알이 차야 먹을 것이 있는 법이야.”(박경리 〈토지〉) “심신이 가벼워서 그런지 이제는 담배도 ‘제맛’이 돌았다.”(이문구 〈산너머 남촌〉) “사내 품도 추운 한겨울이 ‘제맛’이라더만 나야 어디 팔자에 그 재미는 없는 사람이고 ….”(한수산 〈유민〉)

여기서 ‘제맛’은 ‘고유한 맛’, 또는 ‘본성을 띤 좋은 상태’란 뜻으로 쓰였다. 최근 나온 일부 사전에는‘제맛’이 보이기도 한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902
3348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101
3347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02
3346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104
3345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104
3344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09
3343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109
3342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111
3341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111
3340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115
3339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116
3338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116
3337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19
3336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121
3335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22
3334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123
3333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128
3332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131
3331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132
3330 쓰봉 風文 2023.11.16 1133
3329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134
3328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35
3327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1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