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4 22:50

자음의 짜임새

조회 수 724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음의 짜임새

한국에 사는 미국 사람이 ‘팔’이 아파 병원을 찾았다. 우리말로 ‘팔’이 아프다고 했는데, 의사는 ‘발’이 어떻게 아프냐고 묻는다. ‘발’이 아니고 ‘팔’이 아프다고 하지만, 한국 의사는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영어를 쓰는 사람은 머릿속에 우리말의 ‘발’과 ‘팔’이 구별되어 갈무리돼 있지 않아 이 두 발음을 구별하려 하지만 꽤 어렵다. 우리말을 쓰는 사람에게는 두 소리가 아주 자연스레 구별해 저장하고 있는데다 ‘빨’도 구분한다. 따라서 비슷한 [ㅂ·ㅍ·ㅃ] 세 소리를 정확히 구분한다. 그러니 [불·풀·뿔]도 아무 혼돈 없이 구별된다. [ㄱ·ㅋ·ㄲ], [ㄷ·ㅌ·ㄸ], [ㅈ·ㅊ·ㅉ] 역시 그러하다. 우리말은 자음에 세 짝을 이루어 구별한다.

영어에서는 이런 구별이 없고, 단지 유성음과 무성음이라는 두 짝을 구별한다. 우리말 ‘바보’의 두 ‘ㅂ’을 우리는 구별하지 못하지만, 미국 사람들은 앞의 [ㅂ]은 무성음으로 뒤의 [ㅂ]은 유성음으로 전혀 다른 소리로 구별해 인식한다. 마치 우리가 ‘발’과 ‘팔’을 구별하듯이. 영어뿐만 서양말 대부분이 그러하고, 가까이는 일본말·중국말도 그러하다. 이처럼 언어마다 자음의 짜임새는 각각 다르다.

우리말처럼 자음이 세 짝을 이루는 말에 동남아시아의 태국말·베트남말이 있다. 베트남말에서 [가]는 ‘정거장’, [카]는 ‘상당히’, [까]는 ‘노래하다’이다. 그렇다고 우리말과 베트남말이 말겨레가 같다는 것은 아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71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744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842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64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2011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843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961
3342 망신 風文 2023.06.09 2081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946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812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59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2102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34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65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641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737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661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763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20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80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28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59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7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