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31 16:53

체로키 글자

조회 수 628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체로키 글자

올해는 한글날을 국경일로 기념하는 첫해다. 한글날은 세종 임금이 1446년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반포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훈민정음은 창제 원리가 과학적이며 글자 구성이 체계적이다. 그래서 배우기 쉽고 쓰기에 편리하다는 점이 자랑스럽다. 또한 만든 때와 만든 사람이 분명하게 알려진 세계에서 하나뿐인 글자라는 점도 자랑거리다.

미국 동남부에 흩어져 사는 토착민(인디언) 중에 체로키 겨레가 있다. 체로키 겨레는 체로키말을 쓰는 꽤 큰 부족이었으며, 유럽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다른 부족보다 세련되고 차원 높은 문화를 누렸다. 미국 스모키산 자락에 있는 그들의 겨레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에게 자기 겨레는 만든 때와 만든 사람이 분명한 고유글자를 가지고 있다고 자랑한다.

그들의 조상 세쿼이아라는 사람은 체로키말에는 86 음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하나씩 표현하는 음절글자를 만들어 글자생활을 하게 했다. 1820년 무렵이다. 그래서 그들은 체로키말로 된 책·신문·잡지를 발간했다.

그러나 체로키글자는 음소문자인 로마자 알파벳에 획을 더하거나, 고치거나, 뒤집어서 만든 음절문자다. 마치 일본이 한자를 조금씩 변형하여 음절문자인 가나를 만든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독창적으로 만든 글자로 볼 수는 없다. 결국 창제자와 창제 연도가 확실한 세계에서 유일한 글자는 한글뿐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12
337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222
3369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222
3368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22
3367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223
3366 쓰봉 風文 2023.11.16 1224
3365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226
3364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29
3363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30
336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30
336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230
3360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33
3359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34
3358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39
3357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239
3356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239
3355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240
3354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241
3353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42
3352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44
3351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245
3350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246
3349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2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