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8 13:14

가을하다

조회 수 707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을하다

들판에 가을이 그득하다. 이제 가을걷이를 할 때다. 오곡 가운데 으뜸인 벼를 거둬들이고 콩을 타작하는 철이 된 것이다. 시장에는 제철 사과와 배, 밤이 그득하고, 단감과 통통하게 살 오른 대추들도 나와 있다.

‘추수’(秋收)의 의미를 지니는 고유어가 ‘가을’이다. ‘가을걷이’를 줄여서 ‘가을’이라고 하고, ‘가을걷이하다’는 줄여서 ‘가을하다’로 말한다. ‘가을’의 중세국어 형태는 이다. 고장말에서 ‘가실하다’를 많이 쓰는데, 이는 옛말 흔적이 많이 살아 있는 형태다. 전날엔 받침 ㅀ의 ㅎ소리를 살려 ‘가을카리’도 인정해 썼으나 요즘엔 비표준어로 친다. 준말 ‘갈카리’도 그렇다. 그러나 이 역시 고장말들엔 살아 쓰인다.

‘가을하다’는 ‘가을일하다, 가을걷이하다, 가을거두다, 가을걷어들이다, 가을추수하다’ 등으로도 쓰는데, 이때 ‘가을’은 지역에 따라 ‘가실, 갈’로도 쓴다. ‘가을하다’는 경기도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쓰이고, 준말은 ‘갈하다’다. ‘가실하다’는 충청 이남에서 많이 쓰는데, 제주도에서는 ‘ㄱㆍ실하다’로 쓴다. 북쪽도 거의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다.

우리말인 ‘가을일’은 ‘가을에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일’이며, ‘가을일하다’는 동사가 된다. ‘가을걷이’는 ‘가을에 곡식을 거두어들임’이라는 뜻이다. ‘가을’은 ‘익은 곡식’을 의미하므로 ‘가을을 걷다’는 표현에서 ‘가을걷이’가 나온 것이다. 고장말에서는 한자어인 ‘추수하다’는 별로 쓰지 않고 ‘가을일하다, 가을걷이하다, 가을하다’를 많이 쓴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03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33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6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5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26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49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28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5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69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77
»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072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94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25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3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15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75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06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68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89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63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00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83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