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3 07:55

깍두기

조회 수 663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두기

가을철 밥상에 자주 올라오는 김치의 하나는, 깍둑 썬 무와 새파란 무청과 빨간 고추가 잘 어우러진 ‘깍두기’다. ‘깍두기’는 ‘콩나물국, 시래깃국’과 같이 국물과 잘 어울리는 음식이다.

남쪽에서는 고장에 따라 ‘깍두기, 똑닥지, 쪼가리지’ 등으로 말한다. ‘깍두기’는 ‘단단한 물건을 써는 모양’을 나타내는 시늉말 ‘깍둑’에 뒷가지 ‘-이’를 연결하여 만든 토박이말로서, 전국에서 널리 사용한다. 고장에 따라 ‘깍대기/깍떼기, 깍뒤기/깍뛰기, 깍디기, 깍따구, 깍뚝지’ 등으로 발음한다.

‘똑닥지’는 ‘단단한 물건을 가볍게 두드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시늉말 ‘똑닥’에 뒷가지 ‘-지’를 연결하여 만든 토박이말로, 주로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사용한다. 고장에 따라 ‘똑딱지, 똑데기/똑떼기’ 등으로 소리낸다. ‘쪼가리’는 ‘작은 조각’을, ‘조각’은 ‘작은 부분’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쪼가리지, 쪼각지, 쪼가리짐치, 쪼각짐치’라고도 쓴다. 주로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쓰는 말이다. 경남에서는 ‘뻬딱짐치’라고도 한다. 무를 조금 삐딱하게 썰어 담근다고 해서 붙인 이름인 것 같다. 북쪽에서는 고장에 따라 함남에서는 ‘간동지’, 평북에서는 ‘나박디’, 재중동포들은 ‘쪽다지, 구물짐치’ 등을 쓰고 있다.

‘뻐꾸기, 얼룩이’와 같이, 소리시늉말이나 짓시늉말을 이용하여 누구나 알기 쉬운 우리말을 만드는 과정을 ‘깍두기’가 잘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02
466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142
465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7959
464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47
463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22
462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497
461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62
460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53
459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859
458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31
457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01
456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81
455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220
454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759
453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69
452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07
»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37
450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765
449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48
448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062
447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16
446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452
445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