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7 20:22

복수 표준어

조회 수 710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수 표준어

사투리이던 ‘멍게’를 ‘우렁쉥이’와 함께 표준어로 선정한 것은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규정 23항)는 규정에 말미암는다. 또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24항)는 규정에 따라 ‘귀밑머리’를 표준말로 삼고 ‘귓머리’를 버렸다. 이처럼 표준어 규정은 많이 쓰이는 말을 표준어로 삼는 규정을 두고 있다.

표준어 규정에는 ‘복수 표준어’를 둘 수 있게 했다. 비슷한 형태를 모두 다 표준말로 인정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도 방언이 복수 표준어로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부사 ‘얼렁뚱땅’과 ‘엄벙뗑’, 그 동사인 ‘얼렁뚱땅하다’와 ‘엄벙뗑하다’도 복수 표준어다. 문학 작품에 많이 쓰이는 ‘엄벙뗑하다’를 표준말로 삼은 것이다. ‘옥수수’도 사투리로 쓰이던 ‘강냉이’를 함께 표준어로 삼았다.

그런가 하면 ‘단수 표준어’ 규정에서는 방언을 버리고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국물’을 표준어로 삼고 전국적으로 많이 쓰이는 ‘멀국, 말국’은 버렸다. 그 규정이 들쭉날쭉이다.

표준어 규정을 개정할 때, 복수 표준어를 확대하여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고장말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국민이 다양한 어휘를 골라 쓸 수 있도록 선택할 여지를 열어줘야 한다. 1988년에 제정된 표준어 규정을 정보화 시대에 걸맞으면서 지역 문화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하루빨리 손질하기 바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89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6982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13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14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173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7987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24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399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6948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772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371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778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865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048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52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22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839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074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13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39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19
»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01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7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