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2

언어 보존

조회 수 716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 보존

사라져가는 말을 보존한다는 것은 이들 말을 되살려 직접 쓰도록 하거나, 적어도 문서나 음성·영상으로 기록하여 오래도록 남기는 일이다. 이들을 보존해야 하는 까닭은 뭔가?

문화인류학적 이유가 있다. 말에는 이를 쓰는 민족이 여러 세기에 걸쳐 접촉한 자연·사회 환경과 관련한 숱한 정보가 담겨 있다. 그러니 다양한 언어의 보존은 곧 인류의 문화유산을 갈무리하는 일이다. 북극의 이누이트족은 최악의 기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이를 자신들의 ‘이누이트말’에 반영하여 얼음과 눈에 관한 다양한 명칭을 발달시켰다. 아메리카 대륙의 ‘미크맥말’은 가을에 부는 바람소리에 따라 나무에 다양한 이름을 붙인다고 한다. 어떤 나무에 70년 전과 다른 이름이 지금 붙여져 있다면, 이 나무 이름을 통해 그 사이에 벌어진 자연 변화를 짐작할 수 있다.

언어학적 이유도 있다. 개별 언어가 지닌 다양한 어휘와 문법을 보존할 수 있다. 인디언말 가운데 ‘체로키말’에는 씻는 행위에서 무려 14가지 어형이 있으며, ‘디르발말’에는 뱀장어를 가리키는 수십 가지 명칭이 있다. 언어를 지킴으로써 인류는 이런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한 개, 두 마리, 세 포기’의 ‘개, 마리, 포기’와 같은 세는 단위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폰페이말’에는 보통 음식과 잔치 때 자기 몫으로 받은 음식을 세는 단위가 다를 정도로 문법이 분화돼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면 결국 이런 낱말과 문법의 다양성과 섬세함을 동시에 잃고 마는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35
3062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53
3061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49
3060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66
305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32
3058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067
3057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77
3056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92
305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84
305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81
3053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31
3052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83
»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162
305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90
3049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75
3048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46
3047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77
3046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53
3045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05
304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03
3043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45
304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13
3041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