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09 01:13

단소리/쓴소리

조회 수 11505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소리/쓴소리

아무래도 ‘고언’(苦言)을 하기보다는 ‘감언’(甘言)을 하기가 쉽고, ‘고언’을 듣기보다는 ‘감언’ 듣는 것이 좋다. 뜻으로는 ‘감언’이 좋을 듯하나 쓰임을 보면 ‘감언에 넘어가다’, ‘감언에 이끌리다’, ‘감언으로 꾀다’처럼 부정적으로 쓰이는 반면, ‘고언’은 그 반대다.

“앞으로 동학이 어디로 나갈 것인가. … 그게 중요하기 때문에 소승 감히 고언(苦言)을 드리는 바이오.”(박경리, 〈토지〉)

이를 달리는 ‘단소리’ ‘쓴소리’로 쓴다. 여기서 ‘단소리’는 감언을 다듬은 말 같은데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소리’는 오르지 않았고, ‘쓴소리’는 올랐으나 ‘고언의 북한어’로 풀이돼 있다. 그런데 최근 문헌이나 방송 쪽 자료를 보면 ‘감언’이나 ‘고언’보다 ‘단소리’와 ‘쓴소리’가 훨씬 자주 쓰이는 편이다.

“… 단소리만 받아들이고 쓴소리는 받아들일 용기가 없는 모양이라고 ‘일침’을 놓은 뒤 ….”(〈한겨레〉) “… 시장은 단소리만 좋아하고 쓴소리 하는 의원들에겐 미운털을 박아놓고 저런답니다.”(명쾌한 외, 〈단소리 쓴소리〉)

‘단소리’와 ‘쓴소리’를 이처럼 자주 쓴다면 옹근 자격을 줘야 할 것이다. 파생어 ‘단소리하다’와 ‘쓴소리하다’도 마찬가지다.

‘듣기 좋게 꾸며 하는 말’인 ‘단소리’보다 ‘듣기에는 거슬리나 도움이 되는 말’인 ‘쓴소리’에 귀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1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229
3436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282
34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130
3434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652
343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465
343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62
343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174
3430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552
»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05
3428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37
3427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363
3426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016
3425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716
3424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0989
3423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847
3422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0886
3421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9923
3420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627
341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031
3418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867
3417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670
3416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454
3415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