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4 11:00

‘폭팔’과 ‘망말’

조회 수 11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폭팔’과 ‘망말’

방송이나 신문에서 ‘폭팔’과 ‘망말’이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다. “○○, 카리스마 폭팔”과 “망말…주변국 반발”처럼 ‘폭팔’과 ‘망말’을 빈번하게 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폭팔’과 ‘망말’은 각각 한자어인 ‘폭발(暴發)’과 ‘망발(妄發)’의 잘못이다. 폭발은 ‘감정, 힘, 열기 따위가 일시에 세찬 기세로 나옴’을, 망발은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을 뜻한다.

먼저 ‘폭발(暴發)’은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ㅍ’과 ‘ㅂ’으로 모두 순음(입술소리)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ㅍ’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ㅍ’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폭빨]이 아닌 [폭팔]로 발음하게 되었다. 또한 거기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발음에 따라 ‘폭팔’로 적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망발(妄發)’ 또한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ㅁ’과 ‘ㅂ’으로 모두 순음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ㅁ’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ㅁ’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망:말]로 발음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고유어 ‘막말’ 및 한자어 ‘망언(妄言)’도 얼마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함부로 하는 말’을 뜻하는 고유어 ‘막말([망말]로 소리 남)’ 및 ‘이치나 사리에 맞지 아니하고 망령되게 하는 말’을 뜻하는 ‘망언(妄言, [망:언])’과 크게 혼동을 일으켜 이런 잘못이 일어났다.

‘폭팔’과 ‘망말’은 모두 한자어 ‘폭발’과 ‘망발’의 잘못된 발음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이는 어휘 지식이 크게 부족한 사람들에게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잘못이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12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91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08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38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12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00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16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73
»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77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19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082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34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05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61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65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39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156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097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11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080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66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24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