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8 06:20

돼지껍데기

조회 수 15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돼지껍데기

콜라겐이 많아서 피부에 좋다는 소문이 나서인지 여자 연예인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돼지껍질이 자주 꼽힌다. 마오쩌둥도 즐겨 먹었다는 돼지껍질. 고소하고 쫀득한 맛이 일품이다. 그런데 ‘돼지껍질’ 대신에 ‘돼지껍데기’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는 듯하다. ‘껍질’과 ‘껍데기’는 구별되어 쓰이기도 하고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해서 헷갈릴 때가 많다.

사과, 귤, 양파 같은 과일, 채소 등의 단단하지 않은 외피를 ‘껍질’이라고 한다. 껍질은 주로 까거나 벗기는 것이 많다. 그렇다면 수박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를 말한다. 따라서 수박은 껍질이 맞다. 새우도 껍질이다.

‘껍데기’는 껍질보다 단단하다. 달걀, 조개, 소라 등을 싸고 있는 것은 껍데기이다. 그렇다면 윤형주의 노래 ‘조개껍질 묶어’ 가사는 틀린 것일까? 조개껍데기와 조개껍질은 두 형태가 널리 쓰여 복수표준어로 인정되었다.

맥락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수박을 먹고 나서 껍데기는 버려라”에서 ‘껍데기’는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이라는 뜻이다. 베개껍데기, 과자껍데기가 이와 같다. 달걀, 호두, 은행, 땅콩 등은 알맹이를 직접 싸고 있는 얇은 ‘껍질’과 이를 둘러싼 ‘껍데기’로 나눌 수 있다.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 잡을까”란 속담이 있다. 호랑이의 가죽을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이다. 호랑이가 껍질이면 돼지도 껍질이 맞다. 문득 신동엽 시인의 시 ‘껍데기는 가라’가 떠오르는 건 너무 생뚱맞은가.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34
3150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69
3149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770
3148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771
3147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772
314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76
3145 단골 風文 2023.05.22 1776
314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80
314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780
3142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781
3141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82
3140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84
3139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785
3138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86
313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88
3136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93
3135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94
3134 너무 風文 2023.04.24 1797
3133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98
3132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803
3131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805
3130 -분, 카울 風文 2020.05.14 1810
3129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8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