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2.10 10:31

받아쓰기 없기

조회 수 23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받아쓰기 없기

새 대통령의 일거수일투족이 모두 파격이라고 관심들이 많다. ‘파격’이란 오래된 격식이나 관행을 깨뜨리는 참신한 행동을 말하는 긍정적인 표현이다. 그중에 언어 문제에 대한 파격은 단연코 대통령의 발언을 받아쓰기하지 말고 의견을 말해 달라는 요구였다. 언어만이 아니라 기존의 태도, 생각, 가치 등을 전면적으로 혁신하려는 외침으로 해석된다.

남북한의 정치에 여러 가지 다른 점이 많고도 많지만 유일하게 똑같아 보이는 것이 상급자는 무언가를 말하고 있는데 참모들은 부지런히 수첩에 받아쓰기를 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누구 하나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조차 없었다. 오로지 상명하달만을 목표로 삼고 있는 조직의 모습이었다. 어찌 이런 곳에서 창의적인 생각과 의견이 나올 수 있었겠는가?

잘되길 바라지만 적이 걱정되는 면은 이 결정이 대통령의 ‘지시’로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참모 가운데 누군가가 이런 문제 제기를 먼저 했더라면 더 강력한 혁신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회의 자료조차 없앤다는 말에는 이제 우리도 무의미한 형식을 떨어내고 제대로 의견을 모으는 회의에 충실할 수 있는 계기가 왔구나 하는 기대를 하게 된다.

이왕이면 언어 표현도 혁신의 길에 동반했으면 한다. 문장의 서술어들은 그 말의 사회적 기능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서술어에 ‘지시, 명령, 하달’과 같은 말이 들어가면 의사결정의 혁신 취지는 사라진다. ‘의견을 모았다’라든지, ‘어떤 의견으로 조정되었다’와 같은 표현이 더 바람직하다. ‘전격적으로, 즉각적으로’ 같은 사려 깊지 못한 부사어들도 삼갔으면 한다.

그래서 부디 소통하고, 의견을 나누고, 다양한 주장을 통합하는 성숙한 정치의 첫걸음이 이 기회에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말이 탁상공론의 도구에서 벗어나 삶을 변화시키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038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90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873
    read more
  4.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Date2022.05.16 By風文 Views1133
    Read More
  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Date2022.05.12 By風文 Views1125
    Read More
  6. 영어 공용어화

    Date2022.05.12 By風文 Views1325
    Read More
  7. 영어의 힘

    Date2022.05.12 By風文 Views1156
    Read More
  8. 세계어 배우기

    Date2022.05.11 By風文 Views1264
    Read More
  9. 한국어의 위상

    Date2022.05.11 By風文 Views1427
    Read More
  10. 성인의 세계

    Date2022.05.10 By風文 Views1421
    Read More
  11. 마그나 카르타

    Date2022.05.10 By風文 Views1163
    Read More
  12. 인종 구분

    Date2022.05.09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13. 호언장담

    Date2022.05.09 By風文 Views1288
    Read More
  14. 외국어 차용

    Date2022.05.06 By風文 Views1165
    Read More
  15. 남과 북의 협력

    Date2022.04.28 By風文 Views1338
    Read More
  16.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Date2022.04.27 By風文 Views1208
    Read More
  17.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Date2022.02.24 By風文 Views1193
    Read More
  1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Date2022.02.13 By관리자 Views1065
    Read More
  19.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Date2022.02.13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20. 역사와 욕망

    Date2022.02.11 By風文 Views1202
    Read More
  21. 되묻기도 답변?

    Date2022.02.11 By風文 Views1343
    Read More
  2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Date2022.02.10 By風文 Views1091
    Read More
  23. 받아쓰기 없기

    Date2022.02.10 By風文 Views2342
    Read More
  24. 권력의 용어

    Date2022.02.10 By風文 Views1099
    Read More
  25. 언어적 적폐

    Date2022.02.08 By風文 Views131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