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11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행상을 한 할머니는 철수가 바르게 클 수 있도록 궂은일도 마다 않고 뒷바라지를 했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누군가 먼 길을 마다 않고 한달음에 달려와 자기 일처럼 해주면 얼마나 좋겠는가.”

눈에 자주 띄는 예문이다. 여기서 ‘마다 않고’의 ‘마다’는 ‘마다하다’의 어근이다. ‘마다하다’는 ‘거절하거나 싫다고 하다’를 뜻한다. 어근은 단어를 분석할 때 필요한 개념이다. 용언으로서 단어가 문장에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어근만 가지고선 안 된다. 따라서 ‘마다하지 않고’로 적어야 옳다.

인터넷상의 축약된 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쳐서인지 이처럼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턱대고 말을 잘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깥의 소란에도 아랑곳 않고 영자는 고개를 숙인 채 일에 열중했다”의 ‘아랑곳 않고’는 어떨까. 여기서도 ‘아랑곳하지 않고’로 쓰는 것이 바른 용법이다. 그러나 ‘아랑곳 않고’는 허용될 만하다. ‘마다’와 달리 ‘아랑곳’은 ‘일에 나서서 참견하거나 관심을 두는 일’이란 뜻의 명사다. 또 “그녀는 그 젊은이의 반응 따위는 아랑곳을 않으려는 투였다”처럼 ‘아랑곳’ 뒤에 ‘을’이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못하다, 머지않다, 못지않다’처럼 한 단어로 인정받았으면 모를까 ‘마다않다’는 아직 허용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81
330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542
3303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542
3302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42
3301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544
3300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546
3299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46
3298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547
3297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547
3296 지슬 風文 2020.04.29 1550
3295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51
329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552
3293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552
3292 상석 風文 2023.12.05 1552
3291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53
3290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553
3289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55
3288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555
3287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556
3286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558
3285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559
3284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560
3283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5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