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9 14:27

호함지다

조회 수 864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호함지다

한라산과 백두산에 눈이 내렸다. 같은 눈을 보고도 남북은 표현을 달리한다. 남한 말 ‘탐스럽다’에 해당하는 북한 말 ‘호함지다’가 그 경우다. “앞날을 예측할 수 없지만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는 순간 용기가 났다” 식으로 쓰인다. 이 예문에선 ‘호함지다’가 복합 의미(흐뭇하다+탐스럽다:흐뭇할 만큼 탐스럽다)를 담고 있지만 문장에 따라 남한 말 ‘탐스럽다’와 ‘흐뭇하다’의 (의미상) 경계를 넘나들면서 호환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즐겁던 일은 한바탕 호함진(흐뭇한) 웃음 끝에 흔히 잊어지고 마는데 어려운 나날들에 맺힌 사연은 기억의 쪽문을 열고…괴여 오르곤 한다.”-김철 ‘천지의 물줄기’
“가을이 됐으니 호함진(탐스러운)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야 할 텐데 웬일인지 쭉정이 농사뿐이다.”-김철 ‘뻐꾸기는 철없이 운다’

‘호함지다’를 더 살펴보니 ‘값지다·기름지다·멋지다’ 등이 떠오른다. ‘사물이 어떤 성질이나 모양이다’라는 것을 강조할 때 남한에선 명사에 접사 ‘-지다’를 흔히 붙여 사용한다. ‘호함지다’ 또한 ‘호함+지다’ 구성일 것 같은데 북한 사전엔 ‘호함’과 ‘-지다’를 따로 분류해 놓지 않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59
3392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138
3391 내색 風文 2023.11.24 1145
3390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48
338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150
3388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168
3387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170
338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172
3385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175
3384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87
3383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190
3382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205
3381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207
3380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211
3379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215
3378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215
3377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218
3376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218
337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222
3374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223
3373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224
3372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225
3371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