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7 16:07

한마음 / 한 마음

조회 수 1308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마음 / 한 마음

ㄱ. 한동네, 한마음, 한목소리, 한집안

위에 예시한 단어들은 모두 '한'과 결합하여 이뤄진 복합어이다. '한'은 본래 하나를 뜻하는 수관형사인데 그 의미가 확장되어 '같은'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동네'는 하나의 동네가 아니라 '같은 동네'를 뜻하고, '한마음'은 '하나의 마음'이 아니라 '같은 마음'을 뜻한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그 뜻에 따라 '한'의 문법적 성질을 달리 규정하고 있다. 즉, '하나'를 뜻할 때에는 관형사, '같은'을 뜻할 때에는 접두사로 구별하였다. 이러한 처리는 얼핏 그럴듯해 보이지만 다분히 문제를 안고 있다. 접두사는 예외 없이 다음 낱말과 붙여 써야 하는데, '한'의 경우에는 그렇게 하기 어려울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가령, '한 공장, 한 자동차, 한 학교, 한 회사' 등에서는 '한'이 '같은'의 뜻일 때라도 다음 말과 붙여 쓰기 어렵다. 실제로 이 말들은 ㄱ의 경우와 달리 사전의 표제어로도 올라 있지 않다. 이는 한 단어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은 뜻의 분화와 상관없이 언제나 관형사로만 보는 것이 타당하다. ㄱ의 경우는 파생어(접두사+명사)가 아니라, 합성어(관형사+명사)로 보는 것이 옳다. 이는 '새'가 접두사가 아닌 관형사임에도 '새날, 새댁, 새바람, 새순'의 합성어를 만드는 것과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96
3282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29
3281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30
328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231
3279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32
3278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34
3277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35
3276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37
3275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38
327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40
3273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40
3272 까치발 風文 2023.11.20 1242
327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43
327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44
3269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45
3268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45
3267 순직 風文 2022.02.01 1246
3266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47
3265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49
3264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49
326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51
3262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51
3261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