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08 07:52

통합키로, 참석키로

조회 수 12597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합키로, 참석키로

"이번 회담에는 34개국 정상이 참석키로 돼 있었다." "이 회사는 PC 부문과 프린터 부문을 통합키로 했다."

위 예문에서 '-하기로'를 줄여 '-키로'로 적은 '참석키로, 통합키로' 등은 어문 규정상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참석기로, 통합기로'처럼 적어야 옳다.

한글 맞춤법은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고[간편케(간편하게), 다정타(다정하다), 연구토록(연구하도록), 정결타(정결하다), 가타(가하다), 흔타(흔하다)],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갑갑지(갑갑하지), 거북지(거북하지), 생각건대(생각하건대), 생각다 못해(생각하다 못해), 깨끗지(깨끗하지), 넉넉지(넉넉하지), 답답지(답답하지), 섭섭지(섭섭하지), 익숙지(익숙하지)' 등은 '하'가 완전히 줄어든 예다. 이런 형태는 안울림소리(ㄱ,ㅂ,ㅅ 등) 받침 뒤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참석기로, 통합기로' 처럼 쓰는 게 어색하다는 사람도 많다. 그런 때는 '참석하기로, 통합하기로'처럼 '하'를 살리는 융통성을 발휘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29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41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92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26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48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67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35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18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58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61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37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67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61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93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244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17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261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70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74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016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934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42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