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8 12:37

하여, 하였다

조회 수 9359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여, 하였다

유길준이 '서유견문' 서문에서 언문일치를 주장한 이래 꾸준한 운동으로 지금은 문어체와 구어(입말)체가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유독 아직까지 말과 글이 뚜렷하게 차이 나는 것이 '하여'와 '하였다'다. 법률.공문서는 물론 '현 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여야 할지 논의하였다'처럼 일반 글에서도 '하여' '하였다'가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없다. 현재는 그 준말인 '해' '했다'가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여' '하였다'는 말이 늘어짐으로써 읽는 사람을 따분하게 만든다. 특히 학교에서 초등 교과서는 물론 대학의 논문에 이르기까지 '하여' '하였다'를 사용하고 있다. '하여' '하였다'가 글에 무게를 주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듯하나 이는 시대에 뒤떨어진 고리타분한 표현이다. 문장에서 '해'가 반복될 때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하여'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기는 하나 '하여' '하였다'만 고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주로 학자들이 이런 표현을 애용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0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5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468
326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578
325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00
325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08
325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16
325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62
325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12
325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56
3253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48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173
325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714
32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245
3249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786
324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964
324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20
32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829
3245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84
324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175
3243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30
3242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546
32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494
324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175
323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5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