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3 02:45

할 게, 할게

조회 수 981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할 게, 할게

유길준이 19세기 말 '서유견문록' 서문에서 언문일치(言文一致)를 처음 주장한 이래 20세기 초 일기 시작한 언문일치 운동 등의 영향으로 현재는 입말·글말이 별다른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아직도 말할 때와 글을 쓸 때 약간의 차이는 있다. '너와 나'는 '너랑 나랑' '너하고 나하고'로, '이것 저것'은 '이거 저거'로 흔히 말하는 등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는 미미하지만 아직도 살아있다.

이러한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는 '내가 할 게 무엇인지 몰라도 천천히 할게'에서처럼 때때로 띄어쓰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서'내가 할 게'의 '게'는 '것'을 구어체적으로 표현한 '거'와 '이'가 결합한 형태로, '것이'의 준말이다. '내일 할 게 뭐지' '지금 먹고 있는 게 맛있니'처럼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천천히 할게'와 같이 쓰이는 'ㄹ게'나 '을게'는 '어떤 행동을 할 것을 약속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로, 붙여 써야 한다. '이따가 다시 올게' '내일 갈게' '내가 할게'처럼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87
158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85
157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435
156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21
155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97
154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587
15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17
152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469
151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76
150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30
14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606
148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77
147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61
1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85
145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69
144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76
143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88
142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320
141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95
140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57
139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61
»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16
13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