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2 21:01

~마라 / ~말라

조회 수 965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라 / ~말라

'방해되니까 거기 서 있지 마.' '홍도야 울지 마라. 오빠가 있다.' 이 예문에 나오는 '마/마라'는 이렇듯 주변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 이들의 기본형은 '말다'인데 '말-'에 '-아/-아라'를 붙여 명령형으로 만든 것이지요. 이것을 '말아/말아라'로 쓰는 것은 잘못입니다.

'살다'의 '살-'에 '-아/-아라'를 붙여서 명령형을 만들면 '살아/살아라'가 되고, '팔다'를 명령형으로 만들면 '팔아/팔아라'가 됩니다. 그런데 왜 '말다'는 '말아/말아라'가 아니라 '마/마라'형태를 쓰는 걸까요? 그것은 표준어 규정 제18항에 따른 것입니다. 원래 어간 끝 받침 'ㄹ'은 위의 '살+아/살+아라'의 경우처럼 '아/어' 앞에서 줄지 않는 게 원칙입니다. 그러나 관용상 'ㄹ'이 줄어든 형태가 굳어져 쓰이는 것은 원칙에서 벗어나더라도 준 대로 적습니다. '말+아/말+아라'의 경우는 'ㄹ'이 줄어든 '마/마라' 형태가 일반적이라고 보는 것이지요.

'말아라'에서 줄어든 형태로는 '마라'외에 '말라'도 사용됩니다. '마라'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인 구어체 명령형이나 그 사람이 한 말을 바로 따오는 직접 인용법에 쓰고, '말라'는 문장에서 쓰는 말인 문어체 명령형이나 간접 인용법에 씁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먹지 마라'(구어체 명령)/그는 '너는 먹지 마라'라고 했다.(직접 인용) '먹지 말라'(문어체 명령)/그는 나에게 먹지 말라고 했다.(간접 인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12
332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200
3325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119
3324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262
332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86
3322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560
332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78
332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79
3319 “김” 風文 2023.03.06 1795
331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326
331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73
331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65
331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95
331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271
3313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813
331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75
331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37
3310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329
3309 ○○노조 風文 2022.12.26 1440
33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64
3307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823
3306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026
330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