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23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앗다’와 ‘호함지다’

이제 겨울이 지나가고 있다. 이번 겨울에는 눈도 많이 오고 강추위가 계속되어 다른 해보다 좀 색다른 느낌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것 같다. 농한기를 맞은 겨울 농촌에서 그 지방 고유의 음식을 마련하여 이웃과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방송에 자주 나온 것도 아마 유난히 춥고 긴 겨울 탓이 아니었나 싶다. 이때 나온 음식 가운데 하나가 두부와 묵이었다. 우리는 잘 쓰지 않지만 북녘에는 ‘앗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두부나 묵 같은 것을 만들다”의 뜻이다. 문맥에서 예를 들면 “뜻밖에도 김정숙 동지께서는 서도실이와 함께 콩물을 끓이고 계시였다. 어제밤 두부를 앗겠다고 콩을 불쿠시더니 어느새 망에 콩물을 낸 것이다.”(<그리운 조국 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361쪽)와 같이 쓰인다. 남녘말은 ‘불리다’이고 북녘말은 ‘불구다’인데 ‘불쿠다’는 ‘불구다’의 센말이다.

‘호함지다’는 말은 “마음에 흐뭇할 만큼 탐스럽다”의 뜻이다. “앞날의 모든 일을 지금 당장 다는 예상할 수 없지만 큰 포부와 희망을 품고 북만땅을 떠나 여기 백두산 지구까지 일부러 찾아나오신 장군님께서는 백두산 밀영에서 맞게 되신 첫 아침에 푸지고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시던 순간부터 한량없이 마음이 밝고 명랑해지시였다.”(<압록강>,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3년, 41쪽)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87
3238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727
3237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914
3236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477
3235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457
323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97
32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410
3232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27
323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79
323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60
3229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111
322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210
3227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70
322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438
322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97
3224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313
322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753
322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94
3221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66
3220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55
321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782
32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926
3217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0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