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62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76
3172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78
3171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827
3170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794
3169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73
3168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207
3167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79
316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18
3165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46
3164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47
3163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36
3162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34
3161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40
3160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127
3159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61
3158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35
3157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826
315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624
315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218
3154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764
3153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93
3152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218
3151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