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6 03:44

가외·유월이

조회 수 778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외·유월이

사람이름

성종 9년(1478년), 돈의문 밖에 한 여인이 숨진 채 발견되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편지에 가외(加外)에게 물어 보면 알 것이라 했다. 삼사에서 가외를 데려다 물으니 ‘곱지’(古邑之)라는 여종이라 하였다.

가외는 사내·계집 이름으로 두루 쓰였다. 가외는 추석을 이르며, 가윗날/한가위라고도 한다. 加外(가외)는 ‘한도 밖’을 뜻하며, 중국말(자웨이)로는 옳지 못한 방법으로 잇속을 챙긴다는 뜻이다. 가외에 더하여 가외쇠·가외손이란 이름도 보인다. 서울 회현방(회현동)에 살던 김성하 선생 댁의 호구단자에 가외쇠는 나중에 가오쇠로 적었다. ‘가오’가 든 이름에 가오동·가오쇠·가오덕이가 있다. 충남 보령에 ‘가오데기’란 땅이름이 있음을 볼 때 가오는 추석 뜻만은 아닌 듯하다. 가오에 가까운 ‘가옷/가웃’은 반(半)이란 뜻이다.

정월·이월 따위를 사람이름으로 삼는 경우가 적잖다. ‘삼월이·유월이·구월이·시월이’ 따위는 계집이름이며, 이 밑말에 ‘-쇠’를 붙이면 사내이름이 된다. 계집이름에 유월에 태어난 유월금이도 있다. 유월에 난 유월쇠, 유월 유두에 난 유두와 유두쇠, 칠월 칠석에 태어난 칠석쇠도 있다. 망죵이·망죵개에 보이는 밑말 ‘망죵’은 24절기 하나인 망종(芒種)으로 보인다. 망종은 달리 사람 목숨이 끊어지는 때, 또는 몹쓸 종자를 이르기도 한다. ‘사오리’는 일본 여성 이름에도 널리 쓰이는데, ‘사월이’를 닮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55
3172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89
3171 되바라지다 風磬 2006.11.16 14389
3170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89
3169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67
3168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64
3167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52
3166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26
3165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06
3164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89
3163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66
3162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59
3161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55
3160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41
3159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29
3158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214
3157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3
3156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181
3155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77
3154 올곧다 바람의종 2007.03.03 14165
3153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153
3152 동티가 나다 바람의종 2007.12.31 14148
315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