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62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어느 말겨레에 들지 못하고 두 언어가 뒤섞여 이루어진 말이 있다. 이를 튀기말이라 한다. 튀기말의 대표적인 형태가 피진이다. 피진은 주로 바다를 건너 장사하는 사람들 사이에 사용되던 말이다. 대개는 영어나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에 바탕을 두고 현지 토박이말을 섞어 형성되는데, 낱말의 수도 한정되고 문법도 매우 단순화되어 있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꼭 필요한 만큼의 낱말과 문법으로만 이루어진 게 튀기말이다.

피진 중에는 중국의 피진영어가 대표적이다. 피진이란 말 자체가 비즈니스(business)의 중국 발음을 딴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나 태평양에 여러 토박이말과 서양말 사이에서 생겨난 피진들이 여럿 있다. 대개 낱말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말에서 왔고 문법은 토박이말에서 따왔다.

피진은 친밀하지 않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느라 생긴 것으로 소통할 필요성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집단 사이 관계가 매우 긴밀해져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언어를 완전히 배울 수 있게 되면 피진은 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느 쪽도 상대방 언어를 온전히 배울 마음이 없는 한 피진은 사라지지 않는다. 삼백년 동안이나 유지된 중국의 피진영어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피진이 한 족속의 모국어로 뿌리내리게 되어 어린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이를 정식으로 습득하는 말이 될 때 이를 ‘크레올’이라 한다. 임시변통이던 튀기말이 정식 언어로 태어나는 셈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54
290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598
289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783
288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28
287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31
286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40
285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218
284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93
283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764
282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218
»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624
280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826
279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35
278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61
277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127
276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40
275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34
274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36
273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47
272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46
271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18
270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79
269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