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28

난친이 바위

조회 수 723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친이 바위

땅이름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사는 지역뿐만 아니라 산이나 강·골짜기·바위 등의 이름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이름 가운데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말들이 다수 발견된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좌운리의 ‘난친이 바위’도 이런 이름 가운데 하나다. 이 바위는 마을 앞 산에 절벽처럼 서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에 난친이가 산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난친이’가 어떤 새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다. 우리말 사전이나 동물도감에서도 이 새를 찾을 방법은 없다. 왜냐하면 ‘난친이’는 부엉이나 올빼미처럼 큰 새를 뜻하는 말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마을 사람들은 난친이는 낮에 활동하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고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난친이가 날면 마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도 갖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난친이가 나는 모습을 보았다는 이는 없다.

그렇다면 ‘난친이’는 어떤 새일까? 사실 이 말은 ‘나친’ 또는 ‘라친’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훈몽자회>에는 ‘나친 왈 아골(鴉?)’이라는 풀이가 나타나며, <역어유해>에서도 ‘아골(큰새)’을 ‘나친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기문 교수는 이 단어의 기원을 토이기어 ‘라진’에서 찾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라진’, ‘나친’, ‘난친이’는 모두 ‘큰 새’를 뜻하는 몽골어 기원의 어휘로 고려시대 이후에 들어온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전에 생성된 이름이 오늘날까지도 쓰이는 건 땅이름이 강한 생명력을 지닌 까닭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14
3238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725
3237 굿 바람의종 2008.02.17 7991
3236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072
3235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63
3234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692
3233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34
3232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215
3231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35
3230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005
3229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97
3228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32
3227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118
3226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844
3225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347
3224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104
3223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526
3222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824
»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234
3220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430
3219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151
3218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850
3217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