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810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587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245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7349
    read more
  4. 이랑과 고랑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7395
    Read More
  5. 돌서덕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9630
    Read More
  6. 게르만 말겨레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8643
    Read More
  7. 노루귀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6681
    Read More
  8. 마개와 뚜껑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8315
    Read More
  9. 가닥덕대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7574
    Read More
  10. 라틴말의 후예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7029
    Read More
  11. 물과 땅이름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8102
    Read More
  12. 뚱딴지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186
    Read More
  13. 괴다와 사랑하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9841
    Read More
  14. 아프리카의 언어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979
    Read More
  1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206
    Read More
  16. 올림과 드림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579
    Read More
  17. 무릎노리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857
    Read More
  18. 아랍말과 히브리말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525
    Read More
  19. 별내와 비달홀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873
    Read More
  20. 으악새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9956
    Read More
  21. 까닭과 때문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7090
    Read More
  22. 아시저녁·아시잠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7598
    Read More
  23. 중앙아시아 언어들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339
    Read More
  24. 한뫼-노고산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10453
    Read More
  25. 개불알꽃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33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