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3

울과 담

조회 수 763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과 담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 삼 년을 살고 나니 …” 이렇게 비롯하는 ‘진주난봉가’는 지난 시절 우리 아낙네들의 서럽고도 애달픈 삶을 그림처럼 노래한다. ‘울’이나 ‘담’이나 모두 삶의 터전을 지키고 막아주자는 노릇이다. 이것들이 있어야 그 안에서 마음 놓고 쉬고 놀고 일하며 살아갈 수가 있다. 울도 담도 없다는 것은 믿고 기대고 숨을 데가 없이 내동댕이쳐진 신세라는 뜻이다.

‘울’은 집이나 논밭을 지키느라고 둘러막는 것이다. ‘바자’나 ‘타리’로 만드는 것 둘이 있다. ‘바자’는 대·갈대·수수깡·싸리 따위를 길이가 가지런하도록 가다듬어 엮거나 결어서 만든다. 드문드문 박아둔 ‘울대’라고 부르는 말뚝에다 바자를 붙들어 매면 ‘울바자’가 된다. ‘타리’는 나무를 심어 기르거나 베어다 세워서 만든다. 탱자나무·잔솔나무·동백나무 같은 나무를 심어서 기르면 저절로 자라서 ‘생울타리’가 되고, 알맞게 자란 나무를 베거나 가지를 쳐서 세우고 울대 사이로 새끼줄로 엮어서 묶으면 그냥 ‘울타리’가 된다.

‘담’은 논밭 가를 막는 데는 쓰지 않고, 오직 집을 지키느라고 둘러막는 것이다. 흙에다 짚 같은 검불을 섞어서 짓이겨 쌓는 흙담, 흙과 돌을 층층이 번갈아 섞어서 쌓는 흙돌담, 오직 돌만으로 쌓는 돌담이 있다. 흙담·흙돌담은 반드시 위에 짚으로 이엉을 이거나 기와로 덮어서 눈비를 막아야 한다. 그러니까 눈비가 많고 비바람이 무서운 고장에서는 돌담이 아니면 견디기가 어렵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17
532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53
531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941
530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549
529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452
528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1
527 볼장 다보다 바람의종 2008.01.13 19341
526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73
525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8010
»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637
523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12
522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122
521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21
520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7
519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23
518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49
517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45
516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31
515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5
514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8
513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90
512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869
511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