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8 05:42

먹거리와 먹을거리

조회 수 837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거리와 먹을거리

‘먹거리’는 세계식량기구에서 일하던 분이 1970년대에 영어 ‘food’처럼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싸잡는 우리말이 없어 애태우다 찾아낸 낱말이다. 곡절을 거쳐 꽤 널리 쓰였는데, 90년대 우리말을 남달리 사랑하며 깨끗한 우리말을 살리려 애쓰던 분이 마땅찮다고 하자 ‘먹을거리’가 나타나 요즘은 두 말이 겨루고 있는 듯하다.

‘먹거리’가 못마땅하다는 까닭은 이름없는 백성이 널리 쓰는 낱말이 아니라는 것인데, 한때 전문 학회에서도 우리 조어법에 맞지 않는 말이라고 했다. 이름없는 백성이 널리 쓰느냐 아니냐와 우리 조어법에 맞느냐 아니냐는 둘이 아니라 하나다. 이름없는 백성이 두루 쓰면 조어법에 맞는 것이고 이름없는 백성이 두루 쓰지 않으면 조어법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먹거리’는 움직씨 ‘먹다’의 몸통 ‘먹’에 이름씨 ‘거리’가 붙은 말인데, 이런 조어법은 백성이 즐겨 써 왔다. ‘먹다’의 몸통 ‘먹’에 이름씨가 붙은 낱말로도 ‘먹보·먹새·먹성·먹쇠 …’ 들이 있다. ‘썩다’의 몸통 ‘썩’에 이름씨가 붙은 ‘썩돌·썩바가지·썩바람·썩살·썩새 …’가 있고, ‘꺾다’의 몸통 ‘꺾’에 이름씨가 붙은 ‘꺾낫·꺾쇠·꺾자·꺾창’도 있고, ‘막다’의 몸통 ‘막’에 이름씨가 붙은 ‘막내·막둥이·막말·막매듭·막물·막손·막차·막참·막창·막판’도 있다. 이 밖에도 널리 쓰이는 낱말로 ‘덮개·덮밥·솟대’, 마침내 ‘막가파’ 같은 낱말도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22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234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3843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2909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718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613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055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99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65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017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083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376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46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150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668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100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500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829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304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966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740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4957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3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