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5.08 09:48

서거, 별세, 타계

조회 수 6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거, 별세, 타계

일요일 새벽,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이 전해졌다.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에는 ‘서거’ 외에 ‘별세’, ‘타계’ 등이 있다.

‘서거’는 대통령 같은 정치 지도자나 종교 지도자, 위대한 예술가 등 비범한 인물의 죽음에 대해 쓴다. 사전에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나 존경하는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로 풀이하고 ‘조모의 서거, 선생의 서거 50주기를 맞아’ 등의 예문을 ‘왕의 서거’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회적으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쳤던 사람에 한해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별세’는 세상과 이별한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죽음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말이다. 고인의 사회적 지위나 명망에 관계없이 존경의 뜻을 담아서 쓴다. ‘돌아가시다’와 거의 같은 정도의 존대 표현으로 권위적이지 않아 고인에 대한 개인적인 추모 감정이 더 잘 묻어난다. ‘직원 000의 부친 별세’처럼 부고를 전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타계’는 이 세상을 떠나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국어사전에는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로 풀이돼 있다. 쓰임을 분석해 보면 ‘서거’를 쓸 정도는 아니지만 사회에 적잖은 기여를 했거나 어느 정도 지명도가 있는 인물에 쓰인다는 점에서 ‘별세’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표현들이 언제나 엄격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말하는 장면이나 말하는 이의 뜻에 따라 혼용이 가능하다.

얼마 전 만났던 팔순의 어르신 말씀이 떠오른다. 가까운 친구가 세상을 떠난 뒤 그 일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고민하셨단다. ‘타계’는 공적인 느낌이 강해서 벗을 잃은 슬픔이 드러나지 않고, ‘별세’를 쓰자니 윗사람이 아니어서 꺼려지고. 여러 날 궁리 끝에 ‘영원히 잠들다’는 뜻의 ‘영면’을 생각해내고는 만족스러우셨다고 한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25
26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518
25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99
24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16
2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837
2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06
21 휘거 風文 2014.12.05 25035
20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783
19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023
18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353
17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860
16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560
15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151
1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731
13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195
12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70
1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41
10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53
9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086
8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624
7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962
6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107
5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6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