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5.08 09:48

서거, 별세, 타계

조회 수 5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거, 별세, 타계

일요일 새벽,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이 전해졌다.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에는 ‘서거’ 외에 ‘별세’, ‘타계’ 등이 있다.

‘서거’는 대통령 같은 정치 지도자나 종교 지도자, 위대한 예술가 등 비범한 인물의 죽음에 대해 쓴다. 사전에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나 존경하는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로 풀이하고 ‘조모의 서거, 선생의 서거 50주기를 맞아’ 등의 예문을 ‘왕의 서거’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회적으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쳤던 사람에 한해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별세’는 세상과 이별한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죽음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말이다. 고인의 사회적 지위나 명망에 관계없이 존경의 뜻을 담아서 쓴다. ‘돌아가시다’와 거의 같은 정도의 존대 표현으로 권위적이지 않아 고인에 대한 개인적인 추모 감정이 더 잘 묻어난다. ‘직원 000의 부친 별세’처럼 부고를 전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타계’는 이 세상을 떠나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국어사전에는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로 풀이돼 있다. 쓰임을 분석해 보면 ‘서거’를 쓸 정도는 아니지만 사회에 적잖은 기여를 했거나 어느 정도 지명도가 있는 인물에 쓰인다는 점에서 ‘별세’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표현들이 언제나 엄격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말하는 장면이나 말하는 이의 뜻에 따라 혼용이 가능하다.

얼마 전 만났던 팔순의 어르신 말씀이 떠오른다. 가까운 친구가 세상을 떠난 뒤 그 일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고민하셨단다. ‘타계’는 공적인 느낌이 강해서 벗을 잃은 슬픔이 드러나지 않고, ‘별세’를 쓰자니 윗사람이 아니어서 꺼려지고. 여러 날 궁리 끝에 ‘영원히 잠들다’는 뜻의 ‘영면’을 생각해내고는 만족스러우셨다고 한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868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33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273
    read more
  4.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15
    Read More
  5.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27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34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59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410
    Read More
  9.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450
    Read More
  10.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484
    Read More
  11.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550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625
    Read More
  13.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636
    Read More
  14.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676
    Read More
  15.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676
    Read More
  16.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680
    Read More
  17.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689
    Read More
  18.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690
    Read More
  19.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697
    Read More
  20.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717
    Read More
  21.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739
    Read More
  22.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744
    Read More
  23.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769
    Read More
  24.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782
    Read More
  25.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80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