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3.27 06:22

갑질

조회 수 13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갑질

요즘 하루가 멀다 하고 언론에 등장하는 말 중에 ‘갑질’이 있다.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말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약자인 상대에게 하는 부당한 행위’를 가리킨다. 이 말은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첫째를 이르는 ‘갑’에 접미사 ‘질’이 결합해서 만들어졌다. 보통 계약서를 쓸 때 계약의 두 당사자를 편의상 ‘갑, 을’로 칭하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쪽이 ‘갑’이 된다. 이런 관습으로부터 ‘갑’에는 권력이나 지위가 높은 쪽, ‘을’에는 낮은 쪽의 의미가 덧씌워지게 되었다. 여기에 ‘질’이 붙어 새말이 만들어진 게 흥미롭다. ‘질’이 붙은 말은 대개 부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물론 ‘가위질’이나 ‘바느질’처럼 부정적인 뜻 없이 단순히 그 도구를 사용해서 하는 일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직업이나 직책, 또는 사람이 하는 행위에 ‘질’이 붙을 때는 그 일을 비하하거나, 또는 그 일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가치 평가가 덧붙는다.

비단 ‘도둑질’ ‘싸움질’ ‘고자질’ 같이 본래 나쁜 일을 가리킬 때만이 아니다. 대표적인 예로 ‘선생질’이 있다. 학생들을 교육하는, 존중 받는 직업에 ‘질’이라는 접미사가 결합됨으로써 그 일을 하찮게 여기거나 낮잡는 상황에서만 쓰는 말이 돼버린다. ‘전화질’이나 ‘자랑질’도 마찬가지다. 쓸 데 없이 자주 전화를 하거나 지나치게 자랑을 많이 하는 경우를 비난하는 의미로만 쓰인다. 그런데 북한말에는 ‘질’에 그런 비하의 뜻이 없다고 한다. 새터민들 중에는 ‘선생질’을 ‘교사로서의 직분’이라는 평범한 의미로 썼다가 남한 사람들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사전에 없지만 ‘갑질’이란 말에는, 그런 행동이 해서는 안 될 ‘못된 짓’이라는 사회적 합의가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68
25 뇌까리다 風磬 2006.10.30 11158
24 넓이뛰기 風磬 2006.10.30 10431
23 넋두리 風磬 2006.10.30 8471
22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079
21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0962
20 나리 風磬 2006.10.10 16791
19 꼬투리 風磬 2006.10.10 13517
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4989
17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383
16 곤죽 風磬 2006.09.29 12234
1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162
1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506
13 고뿔 風磬 2006.09.16 15411
12 고명딸 風磬 2006.09.16 15561
11 게거품 風磬 2006.09.14 19372
10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024
9 겻불 風磬 2006.09.14 15916
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014
7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45
6 요, 오 風磬 2006.09.09 20140
5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198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