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장장 138일간에 걸쳐 5만여 명이 출연한 역사적 방송, 분단이 빚어낸 슬픈 감동의 드라마였다. 삼십 년이 지났지만 이산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얼마 전 금강산에서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을 보며 60년이 넘는 세월도 혈육의 인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느꼈다.

흔히 인연을 얘기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의 잘못이다. ‘떼려야’는 ‘떼다’의 ‘떼’와 ‘려야’가 결합한 말로 ‘-려야’는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것이다. 즉 ‘떼려고 하여야 뗄 수 없는’이 줄어 ‘떼려야 뗄 수 없는’이 된 것이다. ‘떼’에 ‘ㄹ래야’가 결합한 ‘뗄래야’는 풀어 쓰면 ‘뗄라고 해야’가 되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갈래야 갈 수 없는 고향’도 ‘가려야 갈 수 없는 고향’으로 쓰는 것이 맞다. ‘가려야’는 ‘갈라고 해야’가 아니라 ‘가려고 해야’가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많다. ‘먹을래야 먹을 수 없는 음식’이 아니라 ‘먹으려야 먹을 수 없는 음식’, ‘볼래야 볼 수 없는 광경’이 아니라 ‘보려야 볼 수 없는 광경’, ‘할래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하려야 할 수 없는 일’로 쓰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들이 ‘떼려야’가 맞는 표현이라고 해도 ‘뗄래야’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아마도 입에 익지 않아서일 것이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뗄래야’를 계속 고집한다면 언젠가는 규정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72
25 뇌까리다 風磬 2006.10.30 11158
24 넓이뛰기 風磬 2006.10.30 10432
23 넋두리 風磬 2006.10.30 8487
22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092
21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0979
20 나리 風磬 2006.10.10 16827
19 꼬투리 風磬 2006.10.10 13550
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004
17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391
16 곤죽 風磬 2006.09.29 12266
1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189
1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531
13 고뿔 風磬 2006.09.16 15415
12 고명딸 風磬 2006.09.16 15584
11 게거품 風磬 2006.09.14 19384
10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058
9 겻불 風磬 2006.09.14 15937
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045
7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71
6 요, 오 風磬 2006.09.09 20162
5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198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