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20 20:13

‘시월’ ‘오뉴월’

조회 수 22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월’ ‘오뉴월’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라디오에서 자주 나오는 노래가 있다. 낮은 바리톤 목소리에 유려한 소프라노 화음이 곁들여진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이다. 고운 선율뿐만 아니라 ‘널 만난 세상 더는 소원 없어, 바람은 죄가 될 테니까’라는 아름다운 가사 덕에 결혼식 축가로도 자주 불린다.

그런데 이 노래 제목은 왜 ‘십월’이 아니고 ‘시월’일까? ‘십 일, 십 원, 십 점’ 등 ‘열’을 나타내는 한자 ‘十’은 모두 ‘십’으로 읽히는데, ‘월’과 결합할 때만 유독 ‘시월’로 발음한다. ‘유월’도 마찬가지로 ‘육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이라고 한다.

‘십월, 육월’ 대신 ‘시월, 유월’로 소리를 내는 것은 ‘활음조’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활음조란 인접해 있는 두 소리를 연이어 발음하기 어려울 때 어떤 소리를 더하거나 빼기도 하고, 때로는 다른 소리로 바꾸어서 발음하기 쉽고 듣기 부드러운 소리가 되게 하는 것이다.

‘한글맞춤법’에서는 ‘시월, 유월’의 ‘시’나 ‘유’처럼 한자의 본래 음이 변해서 사람들 사이에 널리 통용되는 발음이 있다면 그 소리에 따라 적도록 하고 있다. 굳이 그 한자의 본래 발음을 살려 ‘십월’이나 ‘육월’로 적지 않는다.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말과 그 말을 적은 글이 서로 다르지 않게 하려는 ‘언문일치’ 원칙이 적용된 것이다.

활음조의 영향으로 본래의 음과 다르게 발음되는 예에는 ‘시월, 유월’ 말고도 ‘오뉴월, 초파일’ 등이 있다. 오월과 유월을 아울러 이를 때에는 ‘오륙월’이나 ‘오유월’이 아니라 ‘오뉴월’로 발음하고 표기해야 한다. ‘부처님 오신 날’도 ‘사월 초파일’이라고 하지 ‘초팔일’이라고 하지 않는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2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8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12
26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1053
25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42
24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1021
2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18
22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1004
21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1003
2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1003
1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993
18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90
17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985
16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56
15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44
14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942
1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942
12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936
11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934
10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927
9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917
8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914
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901
6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59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