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영수증 받으실게요”

대형 커피전문점 컵 걸이에 새겨진 글이 화제다. “아메리카노 나오셨습니다(X). 나왔습니다(O)” 사물 존칭이 하도 문제가 되다 보니 아예 문구를 새겨 넣은 모양이다. 아르바이트생의 시급보다 비싼 커피이니 나오시는 것이 맞는 것이 아니냐는 비아냥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한때 씁쓸하게 웃었던 적이 있었다. 사물존칭의 문제에 대해서는 이제 사회적인 공감대가 어느 정도 생긴 것 같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높임말을 어려워한다.

“커피 나오셨습니다” 못지않게 자주 틀리는 말 중에 “-(하)실게요”라는 표현이 있다.“영수증 받으실게요” “여기 앉으실게요” “다른 옷 입어 보실게요” 예는 수도 없이 많다. “-(하)실게요”는 모두 틀린 표현이다.

상대방을 높이는 ‘시’와 말하는 사람의 행동에 대한 약속이나 의지를 담은 ‘-ㄹ게요’는 함께 쓸 수 없다. “영수증 받으세요” “영수증 받을게요”는 되지만 “영수증 받으실게요”는 자신이 영수증을 받겠다는 얘기인지 상대방에게 영수증을 받으라는 것인지 뜻이 모호하게 된다. “영수증 받으세요” “여기 앉으세요” “다른 옷 입어 보세요” 정도면 충분하다.

높여야 할 서술어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어머니는 나를 보시며 우셨다’ ‘어머니는 나를 보시며 울었다’ ‘어머니는 나를 보며 우셨다’ 어느 것이 맞을까? 어느 쪽도 틀렸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문장의 마지막 서술어에 ‘시’를 쓴다. 즉 ‘어머니는 나를 보며 우셨다’가 자연스럽다. 다만 존경의 어휘와 같이 쓸 때에는 다른 서술어에도 ‘시’를 쓴다. 가령 ‘주무시다’는 그 자체가 어른에게만 쓰는 존경의 뜻을 담은 어휘이기 때문에 ‘할머니께서 주무시고 가셨다’와 같이 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71
26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24
2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83
24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48
23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041
22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96
21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489
20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24
19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27
18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01
17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697
16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9975
1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0965
14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04
13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072
12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765
11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107
10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432
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98
8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57
7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598
6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226
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