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며칠’과 ‘몇 일’

‘오늘이 몇 월 며칠이지?’라고 할 때 ‘며칠’ 대신 ‘몇 일’을 쓰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며칠’이 맞는 표기라고 하면 ‘몇 년’이나 ‘몇 월’처럼 ‘몇’에 ‘일’이 결합한 것이니 ‘몇 일’로 적는 게 옳지 않겠느냐고 되묻곤 한다.

그러나 ‘며칠’은 ‘몇’에 ‘일’이 결합해서 만들어진 말이 아니다. 그렇게 단정하는 이유는 이 말의 발음이 ‘며딜’이 아니라 ‘며칠’이기 때문이다. ‘몇 월’, ‘몇 억’ 등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들은 ‘며춸, 며척’이 아니라 ‘며둴, 며덕’으로 발음된다.

우리말에서는 종성에 ‘ㅅ, ㅈ, ㅊ, ㅌ’ 등의 소리가 날 수 없어 대표음인 ‘ㄷ’으로 중화되는 현상이 있다. 이에 따라 ‘몇’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가 오면, 받침의 ‘ㅊ’이 ‘ㄷ’으로 소리가 변한 뒤 이 ‘ㄷ’이 다음 음절의 첫 소리로 연음되어 ‘며둴’, ‘며덕’으로 소리가 나게 된다. 이는 ‘옷+안’, ‘낱+알’과 같은 말이 ‘오산’, ‘나탈’이 아니라 ‘오단’, ‘나달’로 소리 나는 것과 같은 음운 현상이다.

그렇다면 이 말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이것은 ‘몇’에 ‘을’이 결합해서 만들어진 말로 추측한다. ‘을’은 ‘일(日)’을 뜻하는 고유어인데, ‘사흘, 나흘, 열흘’ 같은 말에 남아 있다. ‘몇’에 ‘을’이 결합하여 ‘며츨’이 되었다가 모음 ‘으’가 ‘이’로 바뀌어 ‘며칠’이 된 것이다. 실제로 옛 문헌에 ‘며츨, 몃츨’ 같은 표기가 있어 이런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며칠’은 ‘그 달의 몇 째 되는 날’과 ‘몇 날 (동안)’의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두 의미를 구분하여 ‘몇 일’과 ‘며칠’로 구분해서 적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그렇지 않다. 두 경우 모두 ‘며칠’로 소리 나므로 둘 다 ‘며칠’로 적는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796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51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38 

    “사겨라” “바꼈어요”

  5.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81 

    “산따” “고기떡” “왈렌끼”

  6.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87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7.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112 

    어이없다

  8.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743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9.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81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10.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830 

    말의 권모술수

  11.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854 

    무제한 발언권

  12.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865 

    잡담의 가치

  13.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875 

    ‘수놈’과 ‘숫놈’

  14.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884 

    언어적 주도력

  15.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895 

    법률과 애국

  16.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896 

    또 다른 공용어

  17.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902 

    공공 재산, 전화

  18.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911 

    정치인들의 말

  19.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913 

    군인의 말투

  20. No Image 05May
    by 風文
    2020/05/05 by 風文
    Views 916 

    아무 - 누구

  21.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927 

    서거, 별세, 타계

  22.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952 

    어버이들

  23.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954 

    또 다른 이름

  24.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967 

    상투적인 반성

  25.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984 

    고령화와 언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