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8 15:05

한소끔과 한 움큼

조회 수 17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소끔과 한 움큼

신혼 시절, 찌개라도 한번 끓이려면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너 댓 번은 했다.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맛이 우러난다.” “그건 팔팔 끓여야 되는 거야.” “한소금 끓으면 바로 건져내.” 불 조절이 요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때 다른 건 알겠는데 ‘한소금’이 얼마만큼인지는 정확하게 감이 오질 않았다. 어머니의 설명에 따르면 ‘거품이 한번 부르르 올라올 때까지’가 ‘한소금’이란다. 그런데 ‘한소금’을 사전에 찾으니 나오지 않는다. ‘한소쿰’ 혹은 ‘한소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소끔’이 표준어다.

‘한소끔’은 ‘한번 끓어오르는 모양’을 말한다. 조리법에서는 ‘새로운 재료를 넣은 뒤에 그 재료가 다시 한 번 끓을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밥이 한소끔 끓으면 불을 줄여야 한다’와 같이 쓸 수 있다. ‘한소끔’은 또 ‘일정한 정도로 한차례 진행되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다. ‘한소끔 잤다’라고 하면 ‘한숨 잤다’는 뜻이 된다. ‘한소끔 되게 앓았다’고 하면 ‘한차례 심하게 아팠다’는 뜻이다.

‘한 움큼’이라는 말도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이다. ‘움큼’의 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인지 ‘웅큼’이라고 쓰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움큼’은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아이가 과자를 한 움큼 집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근거는 없지만 ‘움켜쥘 만큼’이 줄어서 ‘움큼’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말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단어를 소리 내는 것만으로 신기하게도 모양이나 소리, 느낌까지 그대로 연상이 될 때다. ‘한소끔’과 ‘한 움큼’도 나에게는 그런 말 중의 하나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9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349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462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116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154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229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21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94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134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84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81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356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661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25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423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921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410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773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1064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96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202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961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297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