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8 15:05

한소끔과 한 움큼

조회 수 16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소끔과 한 움큼

신혼 시절, 찌개라도 한번 끓이려면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너 댓 번은 했다.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맛이 우러난다.” “그건 팔팔 끓여야 되는 거야.” “한소금 끓으면 바로 건져내.” 불 조절이 요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때 다른 건 알겠는데 ‘한소금’이 얼마만큼인지는 정확하게 감이 오질 않았다. 어머니의 설명에 따르면 ‘거품이 한번 부르르 올라올 때까지’가 ‘한소금’이란다. 그런데 ‘한소금’을 사전에 찾으니 나오지 않는다. ‘한소쿰’ 혹은 ‘한소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소끔’이 표준어다.

‘한소끔’은 ‘한번 끓어오르는 모양’을 말한다. 조리법에서는 ‘새로운 재료를 넣은 뒤에 그 재료가 다시 한 번 끓을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밥이 한소끔 끓으면 불을 줄여야 한다’와 같이 쓸 수 있다. ‘한소끔’은 또 ‘일정한 정도로 한차례 진행되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다. ‘한소끔 잤다’라고 하면 ‘한숨 잤다’는 뜻이 된다. ‘한소끔 되게 앓았다’고 하면 ‘한차례 심하게 아팠다’는 뜻이다.

‘한 움큼’이라는 말도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이다. ‘움큼’의 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인지 ‘웅큼’이라고 쓰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움큼’은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아이가 과자를 한 움큼 집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근거는 없지만 ‘움켜쥘 만큼’이 줄어서 ‘움큼’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말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단어를 소리 내는 것만으로 신기하게도 모양이나 소리, 느낌까지 그대로 연상이 될 때다. ‘한소끔’과 ‘한 움큼’도 나에게는 그런 말 중의 하나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연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80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27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38 

    “사겨라” “바꼈어요”

  5.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81 

    “산따” “고기떡” “왈렌끼”

  6.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87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7.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112 

    어이없다

  8.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777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9.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838 

    말의 권모술수

  10.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855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11.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870 

    무제한 발언권

  12.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879 

    잡담의 가치

  13.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884 

    언어적 주도력

  1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902 

    ‘수놈’과 ‘숫놈’

  15.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904 

    또 다른 공용어

  16.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905 

    법률과 애국

  17.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912 

    공공 재산, 전화

  18.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919 

    군인의 말투

  19.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927 

    정치인들의 말

  20. No Image 05May
    by 風文
    2020/05/05 by 風文
    Views 933 

    아무 - 누구

  21.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954 

    서거, 별세, 타계

  22.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958 

    또 다른 이름

  23.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964 

    어버이들

  24.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983 

    상투적인 반성

  25.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991 

    선교와 압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