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1 15:15

장녀, 외딸, 고명딸

조회 수 14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녀, 외딸, 고명딸

엊그제 청첩장을 하나 받았다. 신부의 부모는 제 짝을 찾아 떠나는 딸이 대견하다면서도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들에게 몇 마디 덕담을 건네고 돌아와 청첩장을 펴 보았다. 분명 일남일녀를 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부는 ○○○의 ‘장녀’로 표시돼 있었다. 남동생이 있긴 하지만 하나뿐인 딸인데, 그럴 때도 장녀라는 말을 쓰나?

‘장녀’는 ‘큰딸, 맏딸’과 같은 말로 딸이 둘 이상 있을 때 그 중 맏이가 되는, 첫째 딸을 가리킨다. 이 말은 ‘차녀’, ‘삼녀’ 등과 상대적인 개념이어서 여동생이 있을 때만 쓸 수 있는 말이다. ‘장남’도 마찬가지로 외아들인 경우에는 쓰지 않고, 남동생이 있을 때만 쓴다. 그렇다고 청첩장에 ‘외딸, 외아들’이라고 쓰기는 꺼려진다. ‘표준언어예절’에서는 이런 경우에 그냥 ‘딸’이나 ‘아들’로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나뿐인 딸을 가리키는 말은 ‘외딸’ 또는 ‘외동딸’이다. 이 말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무남독녀, 즉 다른 형제나 자매가 없이 단 하나뿐인 딸을 가리킬 때도 있고, 남자 형제는 있지만 딸로서는 하나밖에 없을 때도 쓴다.

아들이 여럿 있는 집의 외딸은 특별히 ‘고명딸’이라고 한다. 어떤 지방에서는 ‘양념딸’이라고도 한다. 음식에 맛을 더하고 모양과 빛깔을 돋보이게 하는 고명처럼 여러 아들 사이에 예쁘게 얹혀 있어 더욱 사랑스러운 딸이라는 뜻이다. 언뜻 딸을 매우 귀히 여기는 말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딸은 양념이나 고명처럼 구색 갖추기로 하나 정도만 끼어 있어야 좋다는 속뜻이 담겨있다. 반대로 딸이 여럿 있는 집의 외아들을 가리켜 ‘고명아들’이라고 하지 않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딸이 많을수록 좋다는 요즘 사람들에게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표현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963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615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1081
    read more
  4.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38
    Read More
  5.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81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87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112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798
    Read More
  9.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846
    Read More
  10.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880
    Read More
  11.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883
    Read More
  12.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889
    Read More
  13.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895
    Read More
  14.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907
    Read More
  15.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916
    Read More
  16.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928
    Read More
  17.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930
    Read More
  18.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934
    Read More
  19.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935
    Read More
  20.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936
    Read More
  21. 또 다른 이름

    Date2021.09.05 By風文 Views964
    Read More
  22.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966
    Read More
  23.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973
    Read More
  24.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985
    Read More
  25.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9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