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4 11:18

‘개덥다’고?

조회 수 15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덥다’고?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하고 있다. 이런 날씨를 일러 젊은이들은 ‘개덥다’고 한다. ‘아주 덥다’는 뜻이다. ‘개(-)’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09년 “집 나가면 개고생이다”라는 광고 카피가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카피에서 ‘개고생’은 ‘어려운 일이나 고비가 닥쳐 톡톡히 겪는 고생’을 뜻하는 말인데, 실질적으로는 비속어에 가깝다. 이때의 ‘개-’는 ‘개수작’, ‘개망신’, ‘개지랄’ 등처럼 ‘헛된’, ‘쓸데없는’의 뜻을 더해 주는 말이다. 주로 ‘수작’, ‘망신’, ‘지랄’ 등처럼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몇몇 말(명사) 앞에 붙는다.

이 광고 이후로 ‘개(-)’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었다. ‘개이익’처럼 명사뿐만 아니라 ‘개덥다’, ‘개싫다’, ‘개예쁘다’, ‘개웃기다’ 등처럼 동사, 형용사 앞에도 ‘개’를 붙여 쓰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때의 ‘개덥다’의 ‘개’는 ‘개고생’의 ‘개’와는 크게 다르다. 게다가 ‘개고생’의 ‘개’가 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과 어울리는 데 반해, ‘개덥다’의 ‘개’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과도 어울릴 수 있다. ‘개덥다’의 ‘개’는 현재 유행어로서, 표준어가 아니다.

내 제자들도 스스럼없이 ‘개덥다’, ‘개웃기다’ 등의 ‘개’를 남발한다. 그때마다 불편함을 느낀다. 나에게 ‘개(-)’는 비속어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다 큰 어른이 아무 때나 이런 유행어를 남발하는 게 부적절하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여 또 어쩔 수 없이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88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567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13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905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207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06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62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38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51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46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60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63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28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25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43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69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16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95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97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14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89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47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