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4 11:18

‘개덥다’고?

조회 수 19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덥다’고?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하고 있다. 이런 날씨를 일러 젊은이들은 ‘개덥다’고 한다. ‘아주 덥다’는 뜻이다. ‘개(-)’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09년 “집 나가면 개고생이다”라는 광고 카피가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카피에서 ‘개고생’은 ‘어려운 일이나 고비가 닥쳐 톡톡히 겪는 고생’을 뜻하는 말인데, 실질적으로는 비속어에 가깝다. 이때의 ‘개-’는 ‘개수작’, ‘개망신’, ‘개지랄’ 등처럼 ‘헛된’, ‘쓸데없는’의 뜻을 더해 주는 말이다. 주로 ‘수작’, ‘망신’, ‘지랄’ 등처럼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몇몇 말(명사) 앞에 붙는다.

이 광고 이후로 ‘개(-)’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었다. ‘개이익’처럼 명사뿐만 아니라 ‘개덥다’, ‘개싫다’, ‘개예쁘다’, ‘개웃기다’ 등처럼 동사, 형용사 앞에도 ‘개’를 붙여 쓰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때의 ‘개덥다’의 ‘개’는 ‘개고생’의 ‘개’와는 크게 다르다. 게다가 ‘개고생’의 ‘개’가 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과 어울리는 데 반해, ‘개덥다’의 ‘개’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과도 어울릴 수 있다. ‘개덥다’의 ‘개’는 현재 유행어로서, 표준어가 아니다.

내 제자들도 스스럼없이 ‘개덥다’, ‘개웃기다’ 등의 ‘개’를 남발한다. 그때마다 불편함을 느낀다. 나에게 ‘개(-)’는 비속어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다 큰 어른이 아무 때나 이런 유행어를 남발하는 게 부적절하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여 또 어쩔 수 없이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103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248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6Jan
    by 風文
    2024/01/16 by 風文
    Views 2155 

    “영수증 받으실게요”

  5. No Image 16Jan
    by 風文
    2024/01/16 by 風文
    Views 2227 

    ‘도와센터’ ‘몰던카’

  6.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224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7.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2312 

    헷갈리는 맞춤법

  8.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63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9.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690 

    북한의 ‘한글날’

  10.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631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11.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747 

    ‘폭팔’과 ‘망말’

  12.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533 

    있다가, 이따가

  13.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503 

    내일러

  14.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504 

    아주버님, 처남댁

  15.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580 

    한 두름, 한 손

  16.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665 

    ‘이고세’와 ‘푸르지오’

  17.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410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18.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584 

    뒤치다꺼리

  19.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690 

    ‘~스런’

  20.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643 

    ‘며칠’과 ‘몇 일’

  21.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720 

    한소끔과 한 움큼

  22.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558 

    '-시키다’

  23.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296 

    여보세요?

  24. No Image 21Dec
    by 風文
    2023/12/21 by 風文
    Views 1493 

    장녀, 외딸, 고명딸

  25. No Image 20Dec
    by 風文
    2023/12/20 by 風文
    Views 1411 

    어떤 반성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