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나는 말이 하염없이 느리다. 사이버대학에 올린 내 강의 동영상을 보다가 곧장 게시판에 항복 문서를 올렸다. ‘가만히 듣다 보면 어느새 졸음이 밀려옵디다. 재생 속도를 1.25배로 하니, 졸음이 조금 늦게 오시더군요.’

‘보통’ 속도로 보는 건 손해다. 1.25배속으로 봐도 ‘줄거리 파악’에 아무 어려움이 없다. 출연자의 목소리가 가늘어지고 신경질적으로 들리긴 하지만, 바쁜 시간을 알뜰하게 아껴 쓴다는 실용주의자의 자부심을 심어준다.

여기에 맛을 들이면서 영상예술에 대한 감각이 변질되더군. 내용과 형식이 분리될 수 있으며, 형식보다는 내용이 더 중요하다는 착각 말이다. 속도를 높일수록 우리 귀는 내용(메시지)만을 쫓는다. 조각난 작품을 읽고 재빨리 주제를 파악하는 걸로 국어 실력을 가늠하는 것처럼, 줄거리만 간추리면 영상을 다 본 것. 목소리나 말의 속도, 음색 같은 건 선물을 싼 포장지일 뿐.

우리는 줄거리, 핵심 내용, 주제를 뽑기 위해 영상을 보는 게 아니다. 작품 자체가 갖는 고유한 물질성, 질감, 현장성 같은 것에 녹아 들려고 본다. 우리가 예술에 다가가는 이유는 그 속에 낱낱의 고유한 삶의 형식들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느리고 어눌하고, 어떤 생각이 다른 생각을 간섭하고 뒤엉키는 그 머뭇거림의 형식 자체에 마음이 격동되기를 바라며. 형식에 대한 무시는 예술을 메마르게 한다. 말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있는 허공과도 같은 빈틈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속도를 늘릴수록 우리는 말해지지 않은 것, 표현되지 않은 것이야말로 예술의 본질에 더 근접해 있다는 걸 망각하게 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63
3238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230
3237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30
3236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30
3235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30
323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34
3233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36
3232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237
3231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37
3230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37
3229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39
3228 ○○노조 風文 2022.12.26 1239
322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42
322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43
3225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243
3224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47
3223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7
3222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47
322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48
3220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49
3219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2
3218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53
3217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