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3.06 06:34

“김”

조회 수 16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

우리 딸은 아빠를 잘 이용한다. 밥을 푸러 일어나 두세 걸음을 옮길라치면 등 뒤에서 ‘아빠, 일어난 김에 물 한잔만!’. 안 갖다줄 수가 없다. 매번 당하다 보니 ‘저 아이는 아빠를 잘 써먹는군’ 하며 투덜거리게 된다. 중요한 건 때를 잘 맞추는 것. 늦지도 빠르지도 않아야 한다. 잠자코 기다리고 있다가 누군가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먹이를 낚아채는 야수처럼 세 치 혀를 휘둘러 자기 할 일을 슬쩍 얹는다.

밥을 하면 밥솥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물을 끓이면 주전자에서 김이 뿜어져 나온다. 추운 날 내 입에서도 더운 김이 솔솔 나온다. 모양이 일정치 않고 아지랑이처럼 아른거리다가 이내 허공에서 사라진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세상 이치를 집안에서 알아챌 수 있는 것으로 이만한 게 없다.

‘김’은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장 보는 김에 머리도 깎았다’처럼 ‘~하는 김에’라는 표현을 이루어 두 사건을 이어주기도 한다. 단순히 앞뒤 사건을 시간순으로 연결하는 게 아니다. 앞일을 발판 삼아 뒷일을 한다는 뜻이다. ‘장을 보고 머리를 깎았다’와는 말맛이 다르다. 앞의 계기가 없다면 뒷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저 가능성이나 아쉬움으로 남겨두었겠지. 기왕 벌어진 일에 기대어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용기를 낸다. ‘말 나온 김에 털고 가자.’ ‘생각난 김에 전화해 봐.’ 변화를 위해선 뭐든 하고 있어야 하려나.

‘~하는 김에’가 숨겨둔 일을 자극한다는 게 흥미롭다. 잠깐 피어올랐다 이내 사라지는 수증기를 보고 뭔가를 더 얹는 상황을 상상하다니. 순발력 넘치는 표현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02
3216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062
3215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034
32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783
3213 바람의종 2007.03.31 8388
3212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255
3211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498
3210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723
3209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7882
3208 푸른색, 파란색 바람의종 2011.12.23 10516
3207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18
3206 푸르른 바람의종 2008.08.11 6229
3205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669
3204 표지 / 표시 바람의종 2012.07.04 11185
3203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423
320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682
3201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427
3200 표준 언어 예절 바람의종 2012.03.27 11473
3199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2024
3198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795
3197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105
3196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671
3195 폭발, 폭팔, 폭파시키다 바람의종 2010.02.25 138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