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3.06 06:34

“김”

조회 수 15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

우리 딸은 아빠를 잘 이용한다. 밥을 푸러 일어나 두세 걸음을 옮길라치면 등 뒤에서 ‘아빠, 일어난 김에 물 한잔만!’. 안 갖다줄 수가 없다. 매번 당하다 보니 ‘저 아이는 아빠를 잘 써먹는군’ 하며 투덜거리게 된다. 중요한 건 때를 잘 맞추는 것. 늦지도 빠르지도 않아야 한다. 잠자코 기다리고 있다가 누군가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먹이를 낚아채는 야수처럼 세 치 혀를 휘둘러 자기 할 일을 슬쩍 얹는다.

밥을 하면 밥솥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물을 끓이면 주전자에서 김이 뿜어져 나온다. 추운 날 내 입에서도 더운 김이 솔솔 나온다. 모양이 일정치 않고 아지랑이처럼 아른거리다가 이내 허공에서 사라진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세상 이치를 집안에서 알아챌 수 있는 것으로 이만한 게 없다.

‘김’은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장 보는 김에 머리도 깎았다’처럼 ‘~하는 김에’라는 표현을 이루어 두 사건을 이어주기도 한다. 단순히 앞뒤 사건을 시간순으로 연결하는 게 아니다. 앞일을 발판 삼아 뒷일을 한다는 뜻이다. ‘장을 보고 머리를 깎았다’와는 말맛이 다르다. 앞의 계기가 없다면 뒷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저 가능성이나 아쉬움으로 남겨두었겠지. 기왕 벌어진 일에 기대어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용기를 낸다. ‘말 나온 김에 털고 가자.’ ‘생각난 김에 전화해 봐.’ 변화를 위해선 뭐든 하고 있어야 하려나.

‘~하는 김에’가 숨겨둔 일을 자극한다는 게 흥미롭다. 잠깐 피어올랐다 이내 사라지는 수증기를 보고 뭔가를 더 얹는 상황을 상상하다니. 순발력 넘치는 표현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12
31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90
3127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394
312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395
3125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396
312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396
312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97
3122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399
3121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05
3120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07
3119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07
3118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414
3117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421
3116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22
3115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23
3114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25
3113 너무 風文 2023.04.24 1427
3112 단골 風文 2023.05.22 1428
3111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29
3110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30
3109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32
3108 갑질 風文 2024.03.27 1439
3107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4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