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15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08
3282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14
3281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14
3280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18
3279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20
3278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20
3277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21
327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21
3275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26
32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26
3273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28
3272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29
327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30
3270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430
3269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31
326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34
3267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35
3266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37
326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37
3264 내일러 風文 2024.01.03 1437
3263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38
3262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439
3261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