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5

푸르름

조회 수 927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르름

최고의 권위와 최대의 어휘를 자랑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푸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물론 이는 실수가 아니고 의도적인 배제임이 분명하다.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푸르름'은 '푸르르-+-ㅁ'으로 분석되는데, 한국어 형용사에 '푸르르다'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범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렇게 쉽게 폐기해 버리기엔 뭔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이 말은 수많은 문학작품에 쓰여 왔다. 애초에 음률을 고르기 위해 시어로서 쓰이기 시작했을 이 단어는 시뿐만 아니라 소설.수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의 서정적인 글쓰기에도 자주 등장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미 상당한 언어 세력을 얻은 단어라 할 수 있다.
둘째, 규범형이라고 할 수 있는 '푸름'은 '푸르름'을 대신하기 어렵다.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푸름'은 푸른 빛깔을 모두 가리키지만 '푸르름'은 숲이나 바다 등의 싱그러운 푸른빛만을 가리킨다. '푸르름'에는 특별한 정서적 분위기가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셋째, 중세 국어에는 '프르다'와 '프를다'가 병존했는데, '푸르름'은 기원적으로 '프를-+-음'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이런 가정이 옳다면 '푸르름'이 문법적 일탈을 범했다는 혐의도 벗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76
3216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84
3215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86
3214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586
3213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90
3212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90
3211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596
3210 '-시키다’ 風文 2023.12.22 1596
320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97
3208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98
320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99
3206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600
320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602
3204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604
3203 ○○노조 風文 2022.12.26 1611
3202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12
320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612
3200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13
3199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613
319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13
319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614
3196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614
3195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6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