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988 추천 수 3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당분간은 추위가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적인 자산운용사 UBS의 대한투신운용 인수가 돌출적인 감독 당국의 개입으로 주춤해졌다." 기상 예보나 증권 시황 관련 기사들에 자주 나오는 '주춤해지다'는 표현은 잘못 쓰는 말이다.

'주춤하다, 주춤거리다, 주춤대다'(어떤 행동이나 걸음 따위를 망설이며 자꾸 머뭇거리다)는 자동사이므로 '아/어지다'를 덧붙일 필요가 없다. 동사 그대로 활용해 '주춤할' '주춤했다/주춤거리고 있다'로 써야 한다.

'성숙해지다'도 잘못 쓰고 있는 대표적인 예다. "아직도 많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여러 방면에서 양적으로 성숙해지는 것에 비해 그 평가나 기대효과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지난 1년간 통일된 비폭력저항운동을 하면서 많은 경험을 했고 많이 성숙해졌습니다" 등에서 '성숙(成熟)하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성숙해지다'로 쓰면 틀린다. '성숙하는' '성숙했다'로 써야 맞다.

"온라인에서 불법 복제물을 발견해도 시정하는 데 3~4일이나 걸려 이미 복제가 만연해진 뒤에 뒷북치는 식이 많았다" "논리와 실증이 빈약한데도 재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국내에 팽배해진 데에는 재벌 문제에 관한 논의가 이렇게 정치화됐기 때문이다"의 '만연해진' '팽배해진'도 동일한 사례다. '만연(蔓延/蔓衍)하다' '팽배(澎湃/彭湃)하다'가 자동사이므로 '만연해 있는' '만연한'으로, '팽배하게 된, 팽배해 있는'으로 써야 바르다.

이런 단어들을 잘못 사용하는 까닭은 이들을 형용사인 줄로 착각해 이것을 다시 동사로 만들어 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13
3304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84
3303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85
3302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85
3301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85
330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288
3299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89
3298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89
329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90
329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291
3295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91
3294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92
3293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92
3292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93
329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93
3290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295
328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96
3288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96
3287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99
3286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02
3285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302
3284 까치발 風文 2023.11.20 1302
3283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