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14 14:35

냄비 / 남비

조회 수 1389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선냄비

성탄절이 가까워 오던 18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셉 맥피라는 구세군 사관은 재난을 당한 1000여 도시 빈민을 먹여 살릴 궁리를 하다 기발한 생각을 하게 된다. 집안에서 사용하던 큰 솥을 오클랜드 부두로 들고 나가 거리에 내걸었다. "이 국 솥을 끓게 합시다." 얼마 지나지 않아 빈민들에게 식사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기금이 마련됐다.

 1928년 12월 15일 서울.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던 박준섭(조셉 바아)은 도심에 자선냄비를 설치하고 불우이웃돕기 모금을 시작한다. "가난한 이웃을 도웁시다." 메가폰을 통해 울려 퍼지는 자선의 목소리와 종소리는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의 가슴을 데우며 사랑의 손길을 내밀게 했다.

 당시에는 '자선냄비'가 아니라 '자선남비'라 불렸으며, 오래도록 이 용어를 사용해 왔다. '남비'가 일본어 '나베(鍋)'에서 온 말이라 해 원형을 의식, '남비'로 표기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8년 표준어 규정을 개정하면서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냄비'를 표준어로 삼았다. '서울나기' '풋나기' 등 '-나기'도 '서울내기' 등 '-내기'로 함께 바뀌었다. 구세군 '자선남비'도 '자선냄비'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91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795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750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677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10051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230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874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621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88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294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687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631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939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334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431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705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513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539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727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680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8031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