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09 02:29

쟁이, 장이

조회 수 1482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쟁이, 장이

몇 년 전 모 제과사 사장의 이야기를 각색한 ''국희''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극 중 등장하는 ''오빠는 풍각쟁이야''라는 멜로디는 대유행이 됐고, 종영 후에는 드라마 제목을 딴 과자 이름이 등장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노래에 나오는 풍각쟁이란 ''시장이나 집을 돌아다니면서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하며 돈을 얻으러 다니는 사람''을 뜻한다.

 ''-쟁이''와 ''-장이''는 넘나들어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뜻이 다르므로 구별해 써야 한다. ''-쟁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이라는 뜻을 더한다. 즉 ''심술쟁이.욕심쟁이.트집쟁이''라고 하면 심술.욕심.트집이 많은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한편 ''-장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을 더한다. 예를 들면 간판장이.땜장이.미장이.옹기장이 등은 모두 간판이나 땜질, 미장, 옹기 제작 등 앞말과 관련된 기술을 가졌다. 그러므로 ''-장이''에는 장인(匠)이란 뜻이 살아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앞에 오는 말을 살펴봐서 장인의 기술과 관련이 있는 것에는 ''-장이''를 붙이고 그 외의 것은 ''-쟁이''를 붙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6
3215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744
3214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81
321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51
321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47
3211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861
321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63
320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30
320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89
3207 “김” 風文 2023.03.06 1716
3206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43
3205 “사겨라” “바꼈어요” 風文 2024.05.31 30
3204 “산따” “고기떡” “왈렌끼” 風文 2024.05.31 35
320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620
320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191
3201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90
320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49
3199 ○○노조 風文 2022.12.26 1350
319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40
3197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637
31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616
3195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