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1 08:06

'작' 띄어쓰기

조회 수 1068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 띄어쓰기

'지을 작(作)'은 '사람 인(人)부'와 '사(乍)'가 합쳐진 글자다. 여기서 사는 도구를 의미한다. 즉 '작'은 글자 형태상 사람이 도구를 잡고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일이 일어나다' '만들다' '(농사를) 짓는다' '말하다'라는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 '작'은 '박찬욱 감독의 2004년 작인 '올드보이'는 한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서 손색없다'와 같이 문장에서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작'은 작자의 이름 뒤에, 붙어 작품·지음·제작·저자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써야 한다. '황석영 작 『장길산』' '이육사 작인 청포도'처럼 사용된다. 또한 예문에서 든 것처럼 작자의 이름 뒤에, 해당 작품을 만든 연도 다음에 쓸 때도 띄어 써야 한다. 반면 '한국 영화의 대표작'의 '작'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작품·제작을 의미하는 접미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그는 데뷔작이 대표작이다'처럼 외래어 뒤에도 붙여 쓴다. 또한 '이모작, 평년작, 풍년작'과 같이 농업 등과 관련된 단어 뒤에 붙어 '농사, 작황'을 뜻하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49
70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798
69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837
68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60
67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5206
»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680
65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16
64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79
63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143
62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917
61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849
6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609
59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47
5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933
57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51
56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91
55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41
54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305
53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237
52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934
51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667
50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47
49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