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01 01:32

"드리다"의 띄어쓰기

조회 수 1837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드리다"의 띄어쓰기

우리말의 특징 중 하나는 높임말의 발달이다. 이는 과거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사회구조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자다와 주무시다, 있다와 계시다, 주다와 드리다 등 동일한 뜻의 단어도 예사말과 높임말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드리다의 경우 '아버지께 서신을 읽어 드리고 집안 사정을 말씀드렸다'와 같이 유사한 의미를 갖고 있으면서도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띄어 쓰는 '드리다'는 '물건 등을 남에게 건네어 가지거나 누리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로서 '할아버지께 용돈을 드리다'처럼 쓰인다. '일을 도와 드리다' '집을 사 드리다'와 같이 다른 사람을 위해 어떤 행동을 대신함을 나타내는 의미의 보조동사로 쓰인다. 두 경우는 모두 '주다'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집안 사정을 '말씀드리다', '기도드리다'는 붙여 써야 한다. 이때 '드리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공손한 행위'의 뜻을 더해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물론 '기도를 드리다, 말씀을 드리다'와 같이 쓸 수도 있다. 이때 '드리다'는 '윗사람을 높여 말이나 인사를 드리다'거나 '신에게 비는 일을 하다'라는 뜻의 동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40
26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35
2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52
24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15
2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01
22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432
2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323
2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445
19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321
18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54
1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77
16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358
1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64
14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11
13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408
1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238
1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289
10 갑질 風文 2024.03.27 1380
9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509
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466
7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11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432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