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33

쪽집게, 짜깁기

조회 수 806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쪽집게, 짜깁기


얼마 전에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하지만 아직 대학에 따라선 논술고사가 남아 있고 심층 면접도 치러야 한다. 논술고사 출제 예상 문제들을 기가 막힐 정도로 콕 집어내 잘 설명해 주는 '쪽집게 논술 과외 강사'들의 과외비는 아마 부르는 게 값일 것이다. 이렇게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해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가리켜 많은 사람이 '쪽집게' '쪽집개'라고 쓴다.

된소리로 발음하는 언어습관에 이끌려 이렇게 쓰는 것 같은데 표준어는 '족집게'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일부 말은 된소리로 발음해야 말의 맛이 살아나는 경우가 있다. 소주를 '쏘주'로, 강술은 '깡술'로, 자장면은 '짜장면'으로, 강소주도 '깡소주'라고 해야 맛이 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소주''강술''자장면''강소주'가 표준어임은 두말 할 것 없다.

또 자주 틀리는 것으로 '짜집기'가 있다. '짜집기를 특히 잘 하는 세탁소나 옷 수선집을 알면 좀 얘기해 줄래?'에서처럼 '짜집기'가 바른말인 줄 아는 사람이 많다. '직물의 찢어진 곳을 본디대로 흠집 없이 잘 짜서 깁는 일'은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가 표준어다. 여기서 '집다'는 '깁다'의 강원·경상·충청도 방언이다. '짜다+깁다'에서 온 말이므로 '짜깁기'가 바른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58
3018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78
3017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99
3016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754
3015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707
3014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255
301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48
3012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89
3011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69
301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78
30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44
300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447
3007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788
3006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70
300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95
30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5002
3003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60
3002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78
300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32
3000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6
299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80
299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345
»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